학자마다 사회와 교육의 관계를 파악하는 관점은 각각 다르고 이러한 관점은 몇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다. 우선은 사회와 교육의 관계를 논함에 있어서 그 고찰의 초점에 과 구체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의 내적 과정에 중점을 두 눈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거시적 이론은 다시 사회의 질서를 강조하느냐 갈등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기능이론은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가장 오래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이론은 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콩트(Comte)와 스펜서(Spenoer)가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한 것인데 기능이론의 일반적인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이론은 생물학에 근거를 두고 생물학적 관점으로 사회적 사건이나 제도를 파악한다. 즉, 기능이론의 대전제는 인체와 같은 생물학적 유기체와 사회는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인체와 같은 유기체는 소화기관, 호흡기관, 배설기관 등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가진다. 그것들은 각각 다른 생존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다양한 요소들이 각각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해야만 인체의 활동과 건강, 그리고 생존이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요소들은 상호 작용하며, 한 요소의 변화는 다른 요소 및 전체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사회도 사회 전체의 존속을 위하여 요구되는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 간에는 질적인 우열은 없고 단지 기능상의 차이만 있을 뿐이며, 각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사회의 안정과 존속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사회에서는 역할 분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사회적 연대 의식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기능이론은 근본적으로 사회를 안정된 것, 조화를 이루는 구조로 본다. 사회는 구성원들 간의 합의에 바탕을 두고, 안정을 유지하며 존속한다. 물론 각종 악과 갈등현상이 존재하는 사회도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혀랑은 일시적이고 부분적인 부조화일 뿐인가. 부분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다시 안정과 조화를 찾을 수 있다.
셋째, 기능이론은 능력과 재능은 사람마다 다르며 높은 능력일수록 소유자가 적으므로 개인이 가지는 능력과 그 능력의 활용성 정도에 따라 보상되고 선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현대사회는 세습적 지위나 권위보다는 개인의 업적이 중요하게 취급되는 업적 주의 사회이다. 따라서 계층 차, 지역 차, 인종차별에 상관없이 누구나 동등한 사회적 성취 기회를 가질 수 있어야 하고, 공평한 기회 위에서 자기 능력에 맞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사회 구성원들이 각각 수행하는 기능에는 쉬운 일이 있지만 어렵고 중요한 일이 쓰며, 이러한 차이는 사회의 차별적인 보상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의 능력이나 업적에 의한 차이는 부당한 불평등이 아니다. 기능의 차이에 바탕을 둔 차등적 보상 체제는 당연하고, 개인이 어떤 보상을 받고 어떤 지위를 차지하느냐 하는 것은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관한 것이지 사회적인 문제가 아니다.
넷째, 기능이론은 교육체제를 적응 체제의 하나로 간주하여 교육의 사회화 기능으로 강조한다. 교육은 사회에 잘 적응하는 인간, 사회가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일이다. 즉 사회화를 통하여 사회의 안정, 통합, 합의의 증진을 꾀하는 것이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이다. 그러므로 사회에는 공통으로 가르쳐야 할 보편적 문화 요소가 있고, 교육의 목표나 내용의 보편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사회가 분화될수록 교육도 분화되어야 하고, 사회문제가 발생하면 교육도 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기능이론은 교육의 인력 양성 및 선발의 기능을 강조한다. 교육은 누구에게나 동등한 기회로 개방되는, 업적을 기준으로 하는 공정한 경쟁 장소이므로 유능한 인재를 능력에 따라 선발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제도이다. 따라서 교육은 사회에 대해서 재능 있는 사람들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분류하고 선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별 분류에 의해서 장래 성인 사회의 직업적 분화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