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들의 정의
교육의 의미는 학자들에 따라 다르며 해석하는 방식도 다양하므로 교육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여러 가지 정의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가장 포괄적인 정의를 얻기는 더더욱 어렵다. 그러나 한 사회가 영위해야만 하는 기능의 하나로서 교육은 수많은 학자와 관계자들에 의해서 꾸준히 연구·논의되어 왔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여러 학자의 견해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찾아낼 수 있는 몇몇 공통점을 간추려 보고자 한다.
- 칸트
도덕적·인격적 측면을 중시한 칸트(Kant, 1724 - 1784)는 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형성하는 작용이라고 정의하고 교육의 목표를 도덕적인 인간 형성에 두었다. 특히 인격적인 면을 중시하였는데 이 점은 동양의 유교적 교육관과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스프링어
문화적 측면을 중시한 스프링어(Sp ranger, 1888 - 1963)는 비교적 성숙한 사람이 미성숙한 사람을 자연의 상태에서 이상의 상태로 끌어올리기 위해 문화재를 통해서 유의적, 구체적, 연속적으로 주는 문화작용으로 보았다. 문화의 전달·유지·번식·발전·창조가 교육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또한 교육에 의해서 문화는 끊임없이 다음 세대로 전승, 보급, 전달되므로 사회는 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인류문화는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루소
자연성에 중점을 둔 루소(Rousseau, 1712-1778) 나 케이(Key 교육은 인간의 자연적 발전을 위한 조성 작용이라고 하였다. 스티븐(Steve, 1970)은 교육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개체의 발달을 기술적·지성적으로 조장하려는 인류 고유의 활동이며, 미성숙한 자연인을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인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성숙자가 미성숙자를 육성하는 모든 작용이라고 규정한다.
- 페스탈로치
사회성에 중점을 둔 페스탈로치(Pestalozzi 나토르프(Natorp, 1854 - 1924), 크 리 엑 (Kriek 교육은 사회의 계속적 개혁의 수단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교육은 생활의 근본 기능이며, 인간 생활과 인류 역사 발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페스탈로치는 3H의 조화를 주장하면서 인간의 상태를 자연적 상태, 사회적 상태, 도덕적 상태 등 세 가지 상태로 구분하여 교육은 자연적 상태에서 사회적 상태로, 나아가서는 도덕적 상태로 승화시키는 작용이라 하였다.
- 마리 땡
종교적 견지에서 마리 땡(Maritain, 1874 - 1939), 월만(Willmann 등은 교육을 신(神)의 의사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본다. 그리하여 신의 피조물로서 인간 영혼의 완성에 참여하고 공헌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마리 땡은 교육은 인간을 형성 내지 완성으로 지향케 하는 과정이며, 성인들이 의식적으로 젊은 청년들을 계발하는 것이며, 가장 좁은 의미로서는 제반 학교 및 대학 같은 데에서 취급되는 특수한 직분이라 보았다.
- 듀이
생활과 경험적 측면을 강조한 듀이(Dewey, 1856 - 1952)는 교육을 생활, 성장, 사회과정, 경험의 재구성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유한한 생물적 생명을 순응시키는 것이 교육의 사명이며, 따라서 교육은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고, 또한 경험을 사회적·실용적으로 분화·고도화시켜 나가는 것이라고 보았다.